본문 바로가기

성장주

(3)
[20210724] 한 주의 정리 지난주 글에서 현재 시장의 매크로를 설명했다. (성장주의 컴백, 어닝 일드의 경고, 실적장은 언제?) 지난 글들을 간단히 정리해보면 (1) 성장주의 컴백 - 성장주가 가치주보다 좋은 매크로 환경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섹터로는 IT, 헬스케어, 리뉴어블 에너지가 좋고 소비재, 생산재, 금융, 에너지는 안 좋다. 코모디티로의 로테이션은 피하라. (2) 어닝 일드의 경고 - 최근 시장 상승의 질이 좋지 않기 때문에 약간의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고 방어적인 섹터나 스타일을 보험으로 들고 있는 것이 좋다. 그러한 섹터로는 유틸리티, 경기 방어주, 스타일로는 Min Volatility, Low Volatility가 있다. (3) 실적장은 언제? - Quality (실적주) 팩터가 살아나고 있으며 하이일드 본드..
[20210721] 바이딥 좀 해볼까? 2021년 7월 19일 장과 20일 장은 상당히 흥미로운 일이 있었다. 몇 가지 재밌는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골드만 삭스의 트레이더인 John Flood는 기관 투자자들에게 미국 시간으로 2021년 7월 19일에 떨어지고 있는 주식을 담지 말라고 조언(Don't buy this dip)했다. I am a consistent buyer of dips but this wobble feels different and I am bracing for a weaker tape this week. Negative Covid headlines are picking up in velocity. Issuance spigots are fully turned on and this paper is getting harder..
[20210716] 성장주의 컴백 매일 시장을 보고 흐름을 읽으려고 하는 사람들은 지금 많이 지쳐있을 것이다. "도대체 인플레이션이 오는 거야 안 오는 거야?" "가치주로 로테이션했다면서 왜 성장주가 더 오르는 것 같지?" 성장주 성장주는 꾸준히 성장을 일으킨 회사의 주식을 의미하며 지난 10년간 낮은 금리를 통한 현금 조달과 풍부한 유동성을 통해서 발전했으며 대표적으로 기술주가 포함된다. 금리와 성장주의 관계 성장주는 금리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며 매출 성장성이 가장 중요한 동력이다. 미국은 금융위기 이후로 QE로 인한 유동성을 회수하기 위해 2015년 12월부터 정책금리를 인상하게 된다. 하지만 2018년 급격한 인상은 현재 명백한 실수로 평가된다. (Phase I) 그 이유는 장단기 금리차가 급격하게 줄어서 0에 근접하게 되기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