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기법 (7) 썸네일형 리스트형 투자에 대한 단상 당분간 개인 사정으로 글을 업로드하지 못할 것 같아 오랫동안 마지막 글이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있어서 운은 얼마나 중요할까요? 제 개인적인 소견이지만 경험상 투자에 있어서 운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 운은 준비된 자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운이 평범하더라도 실패하지 않는 방향으로 오랜기간 한다면 꽤 성공한 투자자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투자에서 실패하는 까닭을 보면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항상 큰 레버리지 투자를 함에 있어서 레버리지 설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일부 과도한 레버리지를 통해서 큰 부자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갭투자를 연쇄적으로 일으켜서 하는 경우, 마진을 이용한 선물, 옵션 투자를 해서 부자가 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투자는 실력 또는.. [20211111] 돈 버는 부적 - 바나 참 (Vanna Charm) 바나 참.. 디아블로 아이템인가? 이 글은 요즘의 광적인 미국 옵션시장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이전의 옵션 투자 글에서 델타 (delta), 쎄타 (theta)를 다룬적이 있다. 델타와 쎄타는 언더라잉 주식이 올라감에 따라 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옵션의 가치가 얼마나 변하는지 보여주는 지표이다. 수학적으로 1차 미분값이다. 바나 (vanna), 참 (charm)은 2차 미분 값이다. 여기서부터 머리가 혼미해진다. 사실 2차 미분값에 대해서 처음은 아니다. 볼록성을 얘기할 때 감마 (gamma) 얘기한 적이 있는데 언더라잉 주식이 올라감에 따라 옵션의 가치가 얼마나 가속해서 올라가는지 또는 델타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의미한다. 1차 미분값부터 시작하겠다. 이 글이 어느정도 옵션에 대해서 알고 있.. [20210824] 인생은 한방 - 레버리지 ETF 레버리지 ETF를 사용한다면 복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지 않을까, 돈을 빨리 벌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궁금점이 생길 수 있다. 이는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ETF인 QQQ와 이것의 3배 레버리지 ETF인 TQQQ를 통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TQQQ를 보면 하루 내 장중에서는 QQQ와 움직임이 매우 비슷해 보인다. 아래서 보듯 QQQ가 1.4% 오르는 동안 TQQQ는 4.2%가 올랐으니 3배가 정확하게 맞다. 하지만 여러 날짜로 보면 달라지게 된다. 5일로 시간을 증가하게 되면 QQQ가 1.2% 오르는 동안 TQQQ는 3.3%가 오르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TQQQ 상품의 구조를 알아야 한다. 이를 설명하기 앞서 토털 리턴 스왑 (Total Retur.. [20210720] 옵션은 어떻게 투자하는가? "옵션 투자 나도 해보고 싶은데 너무 막막하다." 이 글에서는 옵션 상품에 대해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미 머리로 이해하고 있지만 실제 시장에서의 특징을 이해하고자 하는 경우 도움이 될 수 있다. 빅스가 어제 튀기 전에 올리려고 했는데 한 박자 늦었다. 최근에 볼 상품이 바겐 세일이었기 때문이다. 옵션 투자자는 두 가지를 항상 기억해야 한다. (1) 옵션은 단순 방향성만 베팅하는 상품이 아니라 변동성에 베팅하는 상품이다. (2) 옵션의 가치는 시간이 흐를수록 떨어진다는 것이다. (Deep OTM 풋 옵션 제외) 아래의 식으로 정리해본다. 하 이게 무슨 멍멍 소리.. (필자는 전공자임에도 볼 때 마다 힘들다) 이 식을 설명하기 전에 옵션 트레이딩에 대한 역사를 잠시 설명하겠다. 먼저 옛날 얘기를 듣고 시작하.. [20210718] 수익률은 어디서 오는가 - 팩터 투자 성장주, 가치주, 모멘텀 투자기법에 대해서 이제 대중들에게 많이 익숙하지만 Quality, Carry, Min Volatility 투자 기법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한 예로, 퀄리티 팩터란 수익성이 좋고 꾸준한 실적을 내는 회사들의 주식 군을 말하며 높은 퀄리티 점수를 받는 주식들이 낮은 퀄리티 점수를 받는 주식들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받는다는 것이다. "당연한 얘기를 하고 있어" 안타깝지만 그렇지 않다. 만약에 단순히 이런 믿음을 가지고 있다면 주식시장에서 꾸준히 초과 수익을 내기 어려울 것이다. 이를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팩터 모델의 역사를 짚어야 하며 이 글은 팩터 모델의 발전 역사를 최대한 쉽게 설명하고자 한다. 글이 어려울 수 있으나 이해를 하면 주식시장을 좀 더 높은 곳.. [20210717] 나도 먹어보고 싶다 - 숏스퀴즈와 감마스퀴즈 숏 스퀴즈와 감마 스퀴즈 생소한 이 두 단어는 2020년과 2021년 여러 사건을 통해서 개인 투자자에게 많이 알려졌다. 이 두 단어를 몰라도 투자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다. 스퀴즈 현상은 자세히 분석하지 않으면 일어나고 있는지 알기 조차 어려우며 이를 이용해서 돈을 버는 것은 더 어렵다. 주식 숏은 누가 하는가?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 기관 투자자, 정부 투자자는 주식을 공매도하지 않는다. 주식을 아무런 헷지 없이 공매도하는 것은 주식 트레이딩을 너무 잘 하거나 돈을 잃고 싶거나 둘 중 하나이다. 왜냐하면 주식은 평균적으로 우상향 하기 때문에 정보 없이 반복하면 잃게 되어있다. 따라서, 주식 공매도하는 대부분의 주체는 헷지를 동반한 헷지펀드, 주식 브로커, 옵션을 발행, 구매한 것을 델타 헷지한 중개인이.. [20210717] 승률을 높이는 롱숏 페어 잡기 "나 네이버 숏했어!" 이런 얘기를 친구들에게 종종 듣곤 한다. 그러면 필자는 항상 질문한다. "무엇을 같이 롱 했어?" 대부분 투자를 할 때 절대적인 방향을 맞추려고 노력하는데 이는 매우 어려운 게임을 하는 행위이다. 투자는 무조건 쉽고 명료하게 만들어야 승률을 높일 수 있고 예상치 못한 일이 있을 때 제어가 가능하다. A. 네이버 공매도 VS 현금 B. 네이버 VS 구글 C. 네이버 VS 두산중공업 D. 네이버 VS 카카오 앞에서 예로 들은 것은 문제 A. 네이버를 공매도하기 위해서는 현금과 비교했을 때 현금이 우위에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인데 이 문제는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다. 왜냐면 네이버와 현금의 공통분모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주식과 현금은 대체재로서의 성격이 있기는 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 이전 1 다음